존 가르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가르시아는 1917년에 태어난 미국의 심리학자이다. 그는 다양한 직업을 거쳐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 과학자, UCLA 뇌 연구소 연구 과학자, 대학교수를 역임했다. 가르시아는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맛과 질병 간의 연관성을 밝혀냈고, 이를 통해 "가르시아 효과"로 알려진 조건부 미각 혐오 현상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고전적 조건화에 대한 기존의 이론을 뒤집는 획기적인 발견으로 평가받으며, 1983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타 대학교 교수 - 존 치버
존 치버는 뉴욕 교외 중산층의 삶과 이면을 탐구하며 인간 관계의 복잡성을 묘사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단편 작가로, 대표작으로는 《왑숏 연대기》, 《팰코너》, 《존 치버의 이야기들》 등이 있다. - 유타 대학교 교수 - 마리오 카페키
이탈리아 태생의 미국 분자 유전학자 마리오 카페키는 유전자 제거 마우스 기술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으며, Hox 유전자 연구를 통해 다세포 동물의 배아 발달 제어에 기여하여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교수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교수 - 윌러드 리비
윌러드 리비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을 개발하여 196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물리화학자로, 맨해튼 계획 참여, 미국 원자력 위원회 활동, UCLA 교수 재직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미국의 심리학자 - 허버트 사이먼
허버트 사이먼은 제한된 합리성 개념을 제시하고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을 연구하여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경제학자, 인지심리학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철학자이며, 인공지능 분야 초기 연구에 기여했고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인지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심리학자 - 아모스 트버스키
아모스 트버스키는 인지 편향 연구를 통해 인지과학과 행동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이스라엘의 인지심리학자이자 수리심리학자이다.
존 가르시아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17년 6월 1일 |
사망 | 2012년 10월 12일 (95세) |
국적 | 미국 |
분야 | 심리학 |
모교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AB) 워싱턴 대학교 (MA, PhD) |
영향 | 제임스 브레트 길버트 할로우 칼 레슐리 |
주요 아이디어 | |
주요 아이디어 | 미각 혐오 학습 가르시아 효과 방사선의 효과 |
수상 | |
수상 | 미국 심리학 협회 뛰어난 과학적 공헌상 (1979) F. O. 버크홀더상 (1990) |
2. 생애
존 가르시아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롱비치, 하버드 의학 전문대학원, 뉴욕 주립 대학교, 유타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2002년에는 20세기 가장 많이 인용된 심리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되었으며,[6] 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존 가르시아는 1917년 6월 12일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 근처의 농가에서 스페인 이민자인 사라 카사노바스 이 우나무노와 베니그노 가르시아 이 로드리게스의 아들로 태어났다.[3] 그는 농부, 만화가, 선박 조립공, 공군 사관생도, 아마추어 복서 등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다. 20세에는 18륜 트럭을 만드는 정비공으로 일했으며, 몇 년 후에는 잠수함에 소음기를 설치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선박 조립공이 되었다.[3]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하여 조종사가 되려 했으나, 지속적인 메스꺼움으로 인해 비행을 할 수 없게 되어 정보 전문가로 복무했다.[3] 제대 후에는 G.I. 법안을 이용하여 대학 등록금을 마련했다. 그는 산타로사 주니어 칼리지에서 학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43년에는 도로시 이네즈 로버트슨과 결혼했다.
2. 2. 학문적 경력
가르시아는 1955년 미국 해군 방사능 방어 연구소에서 첫 박사후 연구원 생활을 시작했다.[4] 그는 주로 쥐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뇌의 이온화 방사선 반응을 연구했다.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수학하고,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롱비치 조교수, 하버드 의학 전문대학원 외과 강사, 뉴욕 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 심리학과 교수, 유타 대학교 심리학 교수를 역임했다.
3. 연구 업적
존 가르시아는 쥐를 대상으로 한 이온화 방사선 반응 연구를 통해 조건화된 맛 혐오, 즉 "가르시아 효과"를 발견했다.[4]
가르시아는 쥐가 방사선 챔버에서 플라스틱 병에 담긴 물을 피하는 것을 보고, 쥐가 "플라스틱 맛"과 방사선으로 인한 질병을 연관시킨다고 생각했다. 실험 결과, 쥐는 새로운 맛을 접한 후 몇 시간이 지나 질병이 발생해도 그 맛을 피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는 고전적 조건화가 즉각적인 반응을 필요로 한다는 기존 이론과 달랐다. 또한, 쥐는 시각이나 소리가 아닌 맛에 대한 혐오를 형성하여, 모든 자극이 조건 자극이 될 수 있다는 이론을 반증했다.[5]
조건부 미각 혐오는 유기체가 독성 음식을 피하도록 돕는 생존 메커니즘으로 간주된다.[5] 그는 핵실험장 하류에서 양들이 집단 폐사한 원인이 방사능 중독임을 밝혀냈다.[4]
3. 1. 조건화된 맛 혐오 (가르시아 효과)
가르시아는 1955년 미국 해군 방사능 방어 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쥐를 대상으로 뇌의 이온화 방사선 반응을 연구했다.[4] 그는 쥐가 방사선 챔버에 있을 때 플라스틱 병에 담긴 물을 마시는 것을 피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는 쥐가 "플라스틱 맛"이 나는 물을 방사선이 유발하는 질병과 연관시킨다고 생각했다.실험에서 쥐에게는 맛, 시각, 소리라는 중립적인 자극이 주어졌다. 이후 쥐는 방사선이나 약물(무조건 자극)에 노출되어 병에 걸렸다. 가르시아는 쥐가 새로운 맛을 접한 후, 심지어 몇 시간 후에 질병이 발생하더라도 그 맛을 피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조건화가 일어나려면 무조건적 반응(여기서는 질병)이 조건 자극(맛)에 즉시 이어져야 한다는 기존의 믿음과는 다른 결과였다. 또한, 쥐가 시각이나 소리가 아닌 맛에 대한 혐오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인식 가능한 모든 자극(빛, 소리, 맛 등)이 어떤 무조건적 자극에 대해서든 조건 자극이 될 수 있다는 기존 이론을 반증했다.[5]
가르시아의 발견인 조건부 미각 혐오[5]는 유기체가 이전에 독성으로 확인된 음식을 인식하여 질병을 피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생존 메커니즘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가르시아의 연구 결과 때문에, 조건부 미각 혐오는 "가르시아 효과"라고 불리게 되었다.
3. 2. 방사능 연구 및 사회적 영향
가르시아는 초기 연구에서 쥐가 치과 엑스레이보다 낮은 저용량의 방사선을 감지하고 피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B.F. 스키너의 행동주의 심리학 및 군산 복합체의 친원자력 구성원들과의 격렬한 과학적 논쟁으로 이어졌지만, 그는 결국 이 논쟁에서 승리했다. 핵실험장 하류에서 양들이 집단적으로 죽기 시작했을 때, 가르시아의 연구실 구성원들은 그 원인이 방사능 중독임을 밝혀냈다.[4] 그는 존 F. 케네디와 함께 비엔나로 가서 러시아 과학자들과 만났고,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함께 의회에서 증언했다.[4]그의 실험에서 쥐에게 중립적인 자극으로 맛, 시각, 소리를 제시했다. 이후 쥐는 방사선이나 약물(무조건 자극)에 노출되어 아프게 되었다. 가르시아는 쥐가 새로운 맛을 접한 후, 심지어 몇 시간 후에 질병이 발생하더라도, 그 맛을 피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고전적 조건화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무조건적 반응(질병)이 조건 자극(맛)에 즉시 이어져야 한다는 기존의 믿음에 반하는 것이었다. 또한, 쥐가 시각이나 소리가 아닌 맛에 대한 혐오를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인식 가능한 모든 자극이 어떤 무조건적 자극에 대해서든 조건 자극이 될 수 있다는 기존 이론을 반증했다.[5]
가르시아의 발견인 조건부 미각 혐오[5]는 유기체가 이전에 독성으로 확인된 음식을 인식하여 질병을 피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생존 메커니즘으로 간주된다. 그의 연구 결과, 조건부 미각 혐오는 "가르시아 효과"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의 후기 연구는 혐오 조건 형성을 통해 늑대와 코요테가 야생에서 가축을 잡아먹지 않도록 훈련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가르시아 이론"(맛 혐오 이론)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수상 및 영예
존 가르시아는 2002년에 발간된 일반 심리학 조사에서 제임스 깁슨, 데이비드 러멜하트, 루이스 서스턴, 마가렛 플로이 워시번, 로버트 S. 우드워스와 함께 20세기 가장 많이 인용된 심리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되었다.[6]
참조
[1]
뉴스
John Garcia (1917–2012) Obituary
http://www.legacy.co[...]
2013-03-07
[2]
간행물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apa.org/m[...]
[3]
웹사이트
JOHN GARCIA's Obituary on Skagit Valley Herald Publishing Company
http://www.legacy.co[...]
2016-09-17
[4]
서적
The Nature of Nutrition: A Unifying Framework from Animal Adaptation to Human Obesit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01-01
[5]
문서
Garcia J, Kimeldorf DJ, Koelling RA. Conditioned aversion to saccharin resulting from exposure to gamma radiation. ''Science'' 1955; 122(3160): 157-8.
[6]
저널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apa.org/m[...]
[7]
뉴스
John Garcia (1917–2012) Obituary
http://www.legacy.co[...]
2013-03-07
[8]
저널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apa.org/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